![](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Orvf/btrJ8JgD8ux/KWgQaTViKwpjrgrsGORGGK/img.png)
1. 상악중절치는 절치 중 가장 크며 정중선의 좌,우측에 1개씩 있다. 2. 전체적 형태는 순측이나 설측에서 볼 때는 절단이 치경부보다 긴 사다리꼴(trapezoidal form)이고, 접촉측(근,원심면)에서 볼 때는 삼각형(triangular form)이다. 3. 음식물을 절단(incising, biting & cutting)하는 기능을 가진다. 4. 개개인의 인상에 중요역할을 하는 심미적 기능을 가진다. 5. 맹출시의 치아에서는 절단에 3개의 절단결절(mamelon)이 나타나는데 가운데 결절이 가장 작고, 교합이 시작되면 점차 마모되어 절단은 평탄해 진다. 6. 근,원심경(mesiodistal diameter)이 순,설경(labiolingual diameter)보다 길다. 근,원심경 : 8.5 mm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uiS76/btrKaw8WXJA/IGw5f5e3Kv2ndoByzkmzr1/img.png)
Ⅱ. 개혁 운동 산업화가 시작된 이후 특히 영국과 독일에서는 산업화로 나타나는 부정적 결과들을 수공예 개혁, 계몽, 디자인 양식 개선 등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운동들이 있었다(토마스 하우페 2005). 한쪽에서는 조악한 산업 제품들을 고품질의 수공예 제품으로 대치하고자 하는, ‘과거로의 회귀’를 주장하였다. 이에 반해 다른 쪽에서는 양식 변화, 제품 형태 변화 등으로 디자인의 수준을 높여 아름다운 제품을 만들고자 하였다. 1. 미술 공예 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 1) 정의 미술 공예 운동은 근대 디자인사에서 가장 먼저 일어난 운동으로, 영국의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가 주축이 되어 수공예를 중시하면서 건축, 공예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수공예 운동이라고도 부..
Ⅰ. 산업 시대 개막 1. 산업 혁명과 디자인 1760년부터 1830년에 걸쳐 영국에서 발생한 산업혁명(Industrial Revolution)은 공업은 물론이고 경제와 사회, 문화 전반을 뒤흔들고 그 구조를 크게 변화시켰다. 그 때까지 제품 생산은 인간의 손을 주로 한 수공업이었다. 이것은 전통적인 양식을 바탕으로 했으며, 기술을 전승받은 장인들의 노력과 정성으로 제품이 생산되었다. 그리고 주로 주문 생산이나 소량 생산이었기 때문에 가격이 높았다. 따라서 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로 소수의 귀족과 특권 계층이 수공예 제품을 향유하였다. 그런데 방적 기계의 계량으로부터 시작된 혁신적인 기술의 개발과 기계의 발명은 생산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고, 이는 ‘기계화’와 ‘대량 생산’, ‘대중화’로 요약할 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Ks1W/btrJ7bqOaLl/Qs3chVucU4JOP9iHhomH3K/img.png)
에너지 대사능력의 발달 인간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일을 전혀 하지 않고 누워 있어도 일정량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그 이유는 체온을 36.5℃~37℃로 유지하고, 신체 각 기관의 생존할 수 있는 최소 한도의 에너지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인데, 그것을 ‘기초대사량’이라 한다. 즉 기초대사량은 기본적인 유지비와 비슷한 성격의 에너지 대사량이다. 일을 하거나 운동을 하려면 기초대사량 이외에 추가적인 에너지가 필요한데, 그것을 ‘작업대사량’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사람에게 필요한 열량은 기초대사량에 작업대사량을 합한 열량이다. 에너지 대사량은 산소소비량을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계산하고, 기초대사량의 크기는 대략 피부 표면적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린이는 성인보다 체구가 작기 때문에 기초대사량의 크기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BEd3X/btrJ7OhCcWT/394Aj0lKz22qjoXUecYW0K/img.png)
유아기 운동기술의 발달 (1) 운동기술의 정의와 분류 운동기술은 운동능력을 기반으로 연습 또는 학습을 통해서 얻어진 성과를 말한다. 따라서 달리기, 뛰기, 던지기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운동기능도 발전시키면 운동기술이 될 수 있고, 각종 스포츠에서 수행하는 스포츠기술도 운동기술에 포함된다. 운동기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정한 목적이 있는 수의적인 동작이다. 반사동작은 불수의적인 움직임이기 때문에 운동기술이 아니고, 길거리를 지나가다가 괜히 돌을 걷어차는 것은 특정한 목적이 없는 행동이므로 운동기술이 아니다. 목적 달성을 위해서 신체의 일부, 특히 팔다리 운동을 이용한다. 한국기원이 대한체육회에 가맹단체로 등록되어 있기는 하지만, 바둑이나 장기를 두는 것은 신체활동이 아주 적으므로 운동기술이 아니다. 운동..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8hhh/btrJ8qAxarv/vcz0EQkbowkT6FdlMfyZMk/img.png)
호흡기능의 발달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허파활량을 측정하면 어린이들의 특성 때문에 신뢰도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허파활량은 측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5세 어린이들을 연습시켜 측정한 허파활량의 평균치는 약 900cc이다. 그것은 성인 남자의 약 4,000cc, 성인 여자의 약 3,000cc와 비교했을 때 1/3보다 약간 적은 편이어서 체중의 1/3보다 약간 느리게 발달하는 것이다. 한편 호흡수로도 호흡능력을 알아볼 수 있다. 안정 시 호흡수는 신생아가 분당 50~60회, 1세 어린이가 30~35회, 2세 어린이가 25~30회, 5세 어린이가 20~25회, 성인이 16~18회이다. 이 때문에 육아에 익숙하지 못한 젊은 엄마는 아기 옆에 누워서 아기의 호흡에 맞춰서 숨을 쉬다가 고통스러워 하는 경우도 있다. 정..
세포자멸사 – 새로운 세포에게 자리를 비켜주기 위하여 오래된 세포가 제거되는 과정 * 피부계통 표피, 진피, 피하조직, 땀샘, 지방 분비선, 머리카락, 손톱, 신경을 포함. 외부환경에 대한 보호 장벽역할 내부 체온조절 비타민D 생산 감각정보를 받아들임 * 표피계통 다른 신체계통에 비해 노화에 따른 변화가 훨씬 더 명확함 광노화 작용 – 과도한 자외선 노출에 의해 현저하게 빨라지는 노화속도를 설명하는 용어 표피 노화와 함께 세포의 활동이 감소함에 따라 얇아짐. 세포주기가 느려지면서 표피세포는 더 크게 성장, 불규칙한 각질을 생산. 진피 콜라겐과 탄력소의 합성 감소로 인해 얇아짐. 남아있는 콜라겐이 덩어리지기 시작하여 피부에 주름이 만들어짐. 탄력소 감소에 따라 피부는 늘어난 후에 환원되는 능력이 감소. *..